맨위로가기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3차원 회전 대칭성을 가지는 양자역학적 시스템에서 연산자의 행렬 요소에 대한 정리이다. 이 정리는 구면 텐서 연산자의 행렬 성분을 각운동량 고유 기저에서 계산하며, 행렬 요소가 텐서 연산자의 종류, 초기 및 최종 상태의 각운동량 양자수에 의해서만 결정됨을 보여준다.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전이 쌍극자 모멘트 계산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문제에 적용되며, 계산의 복잡성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현론 정리 - 보렐-베유-보트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는 복소수 반단순 리 군의 표현론에서 층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리 군의 기약 표현을 설명하며, 보렐-베유 정리와 보트의 일반화를 포함한다.
  • 물리학 사이드바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리학 사이드바 - 양자역학
    양자역학은 20세기 초에 개발된 물리학 이론으로, 미시적인 계의 성질과 거동을 설명하며, 불확정성 원리, 파동-입자 이중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현대 기술과 현대 물리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역학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역학 - 양자역학
    양자역학은 20세기 초에 개발된 물리학 이론으로, 미시적인 계의 성질과 거동을 설명하며, 불확정성 원리, 파동-입자 이중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현대 기술과 현대 물리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개요
이름위그너-에카르트 정리
영문명Wigner–Eckart theorem
내용
적용 분야양자역학
설명회전 연산자에 의해 변환되는 텐서 연산자의 행렬 요소를 다루는 정리이다. 구면 텐서 연산자의 행렬 요소는 각운동량의 클렙슈-고르단 계수와 비례한다. 즉, 공간에서 벡터가 어떻게 변환되는지를 안다면, 벡터 연산자가 어떻게 변환되는지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응용원자, 핵, 고체, 분자, 강력과 같은 회전적으로 불변인 계에서 물리적 양의 선택 규칙을 명시하고 계산을 단순화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수식
핵심 내용\langle j' m' | T_q^{(k)} | j m \rangle = \langle j' || T^{(k)} || j \rangle \langle j m k q | j' m' \rangle
설명"\langle j' m' | T_q^{(k)} | j m \rangle"는 구면 텐서 연산자 "T_q^{(k)}"의 행렬 요소이다.
"\langle j' || T^{(k)} || j \rangle"는 축소된 행렬 요소이다.
"\langle j m k q | j' m' \rangle"는 클렙슈-고르단 계수이다.
활용
각운동량이 정리는 각운동량 계산에 사용된다.

2. 전개

3차원 SO(3)는 국소적으로 특수 유니터리 군 SU(2)와 같다. SU(2)의 기약 표현(irreducible representation)은 '''0''', \textstyle \mathbf \frac12, '''1''', \textstyle \mathbf \frac32 등이 있다. (전체 각운동량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기약 표현 \mathbf k2k+1개의 성분을 가진다. 임의의 텐서 표현 \mathbf{1}\otimes\dotsb\otimes\mathbf{1}은 이런 기약 표현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텐서 표현의 기약 분해는 오직 k가 정수인 표현 \mathbf k만을 포함하고, k반정수인 스피너 표현 (\textstyle \mathbf \frac12, \textstyle \mathbf \frac32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SU(2) 표현 \mathbf j를 따라 변환하는 값을 j차 '''구면 텐서'''(spherical tensor영어)라고 하고, 이러한 표현을 따라 변환하는 연산자를 j차 '''구면 텐서 연산자'''(spherical tensor operator영어)라고 한다. k차 구면 연산자 T^{(k)}_q (q=-k,-k+1,\dotsc,k)를 생각하자. 이 구면 연산자의 행렬 성분을, 각운동량 고유 기저 |j,m\rangle (즉, \mathbf L^2|j,m\rangle=j(j+1)|j,m\rangle, L_3|j,m\rangle=m|j,m\rangle을 만족하는 기저)에서 계산하면, 행렬 성분들은 다음과 같은 꼴을 취한다.

:\langle j,m|T^{(k)}_q|j',m'\rangle=T(k,j,j')(\langle j',m'|\otimes\langle k,q|)|j,m\rangle.

여기서 T(k,j,j')kj, j'에만 의존하는 값이고, (\langle j',m'|\otimes\langle k,q|)|j,m\rangle클렙슈-고르단 계수다. 이 식을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라고 한다.

3.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증명

구면 텐서 연산자의 정의에서 시작한다.

:[J_\pm, T^{(k)}_q] = \hbar \sqrt{(k \mp q)(k \pm q + 1)}T_{q\pm 1}^{(k)}

이를 사용하여 다음을 계산한다.

:

\begin{align}

&\langle j \, m | [J_\pm, T^{(k)}_q] | j' \, m'

\rangle = \hbar \sqrt{(k \mp q) (k \pm q + 1)} \,

\langle j \, m | T^{(k)}_{q \pm 1} | j' \, m' \rangle.

\end{align}



좌변의 교환자를 J_\pm가 브라와 켓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여 확장하면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langle j \, m | [J_\pm, T^{(k)}_q] | j' \, m'

\rangle ={} &\hbar\sqrt{(j \pm m) (j \mp m + 1)} \, \langle j \, (m \mp 1) | T^{(k)}_q | j' \, m' \rangle \\

&-\hbar\sqrt{(j' \mp m')(j' \pm m' + 1)} \, \langle j \, m | T^{(k)}_q | j' \, (m' \pm 1) \rangle.

\end{align}



이 두 결과를 결합하면 다음을 얻는다.

:

\begin{align}

\sqrt{(j \pm m) (j \mp m + 1)} \langle j \, (m \mp 1) | T^{(k)}_q | j' \, m'

\rangle = &\sqrt{(j' \mp m') (j' \pm m' + 1)} \, \langle j \, m | T^{(k)}_q | j' \, (m' \pm 1) \rangle \\

&+\sqrt{(k \mp q) (k \pm q + 1)} \, \langle j \, m | T^{(k)}_{q \pm 1} | j' \, m' \rangle.

\end{align}



이 행렬 요소에 대한 재귀 관계는 클레브쉬-고르단 계수와 매우 유사하다. 실제로 둘 다 \Sigma_c a_{b, c} x_c = 0의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세트의 선형 동차 방정식을 갖는다.

:

\begin{align}

\sum_c a_{b, c} x_c &= 0, &

\sum_c a_{b, c} y_c &= 0.

\end{align}



하나는 클레브쉬-고르단 계수 (x_c)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행렬 요소 (y_c)에 대한 것이다. x_c를 정확하게 풀 수는 없다. 우리는 비율이 같다고, 즉

:\frac{x_c}{x_d} = \frac{y_c}{y_d}

또는 x_c \propto y_c라고만 할 수 있으며, 이때 비례 계수는 지수에 독립적이다. 따라서 재귀 관계를 비교하여 클레브쉬-고르단 계수 \langle j_1 m_1 j_2 (m_2 \pm 1) | j m \rangle를 행렬 요소 \langle j' m' | T^{(k)}_{q \pm 1} | j m \rangle와 동일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langle j' \, m' | T^{(k)}_{q \pm 1} | j \, m\rangle

\propto \langle j \, m \, k \, (q \pm 1) | j' \, m' \rangle.


4. 낮은 차수에서의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흔히 다루는 텐서 연산자는 k=0스칼라 연산자나 k=1인 벡터 연산자다. 스칼라 연산자의 경우에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단순히

:\langle j,m|T|j',m'\rangle=T(j,j')\delta_{jj'}\delta_{mm'}

이다. (여기서 \delta는 물론 크로네커 델타다.) 벡터 연산자의 경우에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다음과 같다.

:\langle j,m|T_q|j',m'\rangle=T(j,j')(\langle j',m'\otimes\langle1,q|)|j,m\rangle

이다. 이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langle j_1, m; 1, 0 | j_1+1, m \rangle & = \sqrt{\frac{(j_1-m+1)(j_1+m+1)}{(2j_1+1)(j_1+1)}},\\

\langle j_1, m; 1, 0 | j_1, m \rangle & = \frac{m}{\sqrt{j_1(j_1+1)}},\\

\langle j_1, m; 1, 0 | j_1-1, m \rangle & = -\sqrt{\frac{(j_1-m)(j_1+m)}{j_1(2j_1+1)}}.

\end{align}



(나머지 계수는 모두 0이다.)

구면 1-텐서로서의 성분 T_q는 벡터로서의 성분 T_i (i=x,y,z)로부터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T_\pm=\frac1{\sqrt2}(\mp T_x+iT_y)

:T_0=T_z

5. 다른 표기법

축소 행렬 요소에 대한 다양한 표기법이 존재한다. 라카(Racah)[5]와 위그너(Wigner)[6]가 사용하는 표기법은 추가적인 위상과 정규화 인자를 포함한다.

:

\langle j \, m | T^{(k)}_q | j' \, m'\rangle

= \frac{(-1)^{2 k} \langle j' \, m' \, k \, q | j \, m \rangle \langle j \| T^{(k)} \| j'\rangle_{\mathrm{R}}}{\sqrt{2 j + 1}}

= (-1)^{j - m}

\begin{pmatrix}

j & k & j' \\


  • m & q & m'

\end{pmatrix} \langle j \| T^{(k)} \| j'\rangle_{\mathrm{R}}.



여기서 \begin{pmatrix}

j & k & j' \\

  • m & q & m'

\end{pmatrix} 배열은 3-j 기호를 나타낸다. 이 정규화 방식을 사용하면 축소 행렬 요소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langle j \| T^{\dagger (k)} \| j'\rangle_{\mathrm{R}} = (-1)^{k + j' - j} \langle j' \| T^{(k)} \| j\rangle_{\mathrm{R}}^*,

여기서 에르미트 수반k-q 표기법으로 정의된다.

축소 행렬 요소에 대한 또 다른 표기법은 사쿠라이(Sakurai)의 ''현대 양자역학''(Modern Quantum Mechanics)에 제시된 것이다.

:

\langle j \, m | T^{(k)}_q | j' \, m'\rangle

= \frac{\langle j' \, m' \, k \, q | j \, m \rangle \langle j \| T^{(k)} \| j'\rangle}{\sqrt{2 j' + 1}}.


6. 예제: 위치 연산자 행렬 요소 (4d → 2p 전이)

위치 연산자의 ''x'', ''y'', ''z'' 성분 중 하나인 ''r''''i''와 자기 양자수 ''m''1, ''m''2를 이용하여, 수소 원자의 4d에서 2p 궤도 함수로의 전자 전이에 대한 전이 쌍극자 모멘트는 \langle 2p,m_1 | r_i | 4d,m_2 \rangle 형태의 행렬 요소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1은 2p 부껍질 내의 서로 다른 궤도 함수를, ''m''2는 4d 부껍질 내의 서로 다른 궤도 함수를 구별한다. 이 경우, ''m''1은 (−1, 0, 1)의 3가지, ''m''2는 (−2, −1, 0, 1, 2)의 5가지, ''i''는 3가지 가능성이 있으므로, 직접 계산하려면 총 45개(3 × 5 × 3)의 서로 다른 적분을 계산해야 한다.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를 이용하면, 45개의 적분 중 0이 아닌 단 하나의 적분만 평가하면 충분하다. 나머지 44개의 적분은 클렙쉬-고르단 계수를 사용하여 첫 번째 적분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 클렙쉬-고르단 계수는 표에서 쉽게 찾거나, 손 또는 컴퓨터로 계산할 수 있다.[4]

이러한 계산이 가능한 이유는 45개의 계산이 회전에 의해 서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자가 2p나 4d 오비탈 중 하나에 있을 때, 시스템을 회전시키면 다른 2p나 4d 오비탈로 이동한다. 위치 연산자도 마찬가지로, 시스템이 회전하면 세 가지 성분이 서로 교환되거나 혼합된다.

표현론을 이용하면 더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4d 오비탈 집합은 5차원 기약 표현(스핀-2), 2p 오비탈은 3차원 기약 표현(스핀-1), 위치 연산자 성분 또한 3차원 기약 표현(스핀-1)을 형성한다. 행렬 요소는 이 세 표현의 텐서 곱에 따라 변환되며, 이 텐서 곱은 기약 표현들의 직접 합으로 분해된다. 0이 아닌 행렬 요소는 스핀-0 부분 공간에서만 나올 수 있으며, 직접 곱 분해에 하나의 스핀-0 부분 공간만 포함되므로 모든 행렬 요소가 단일 스케일 팩터에 의해 결정된다.[4]

위치 기댓값 \langle n \, j \, m | x | n' \, j' \, m' \rangle를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x 는 랭크-1 구면 텐서 T^{(1)}_{q}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x = \frac{T^{(1)}_{-1} - T^{(1)}_1}{\sqrt{2}}

여기서 구면 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7]

:T^{(1)}_{q} = \sqrt{\frac{4 \pi}{3}} r Y_1^q

Y_1^q구면 조화 함수이며, 랭크 l의 구면 텐서이다. 또한, T^{(1)}_{0} = z이고,

:T^{(1)}_{\pm 1} = \mp \frac{x \pm i y}{\sqrt{2}}

따라서,

:

\begin{align}

\langle n \, j \, m | x | n' \, j' \, m'

\rangle

& = \left\langle n \, j \, m \left| \frac{T^{(1)}_{-1} - T^{(1)}_1}{\sqrt{2}} \right| n' \, j' \, m'

\right\rangle \\

& = \frac{1}{\sqrt{2}} \langle n \, j \| T^{(1)} \| n' \, j'\rangle \,

\big(\langle j' \, m' \, 1 \, (-1) | j \, m \rangle - \langle j' \, m' \, 1 \, 1 | j \, m \rangle\big).

\end{align}



위 식은 | n j m \rangle 기저에서 x에 대한 행렬 요소를 제공한다. 기댓값을 구하기 위해, n' = n, j' = j, m' = m으로 설정한다. m'm에 대한 선택 규칙은 T^{(1)}_{\pm 1} 구면 텐서에 대해 m \pm 1 = m'이다. m' = m이므로 클레브쉬-고르단 계수가 0이 되어 기댓값이 0이 된다.

참조

[1] 간행물 Eckart Biography http://orsted.nap.ed[...]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 문서
[3] 문서
[4] 문서 2015
[5] 논문 Theory of Complex Spectra II
[6]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Eugene Paul Wigner 1951
[7] 서적 Modern quantum mechanics Addison-Wesley 1994
[8] 서적 Gruppentheorie und ihre Anwendung auf die Quanten-mechanik der Atomspektren
[9] 저널 The Application of Group theory to the Quantum Dynamics of Monatomic Syste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